본문 바로가기
Health 건강

불면증 치료방법 원인

by KEY TV 2021. 10. 18.

 

날이갈수록 불면증을 호소하는 분들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실제로 2012년도 불면증 진료인원은 40만명이었는데 2015년에는 51만명으로 20%가 증가했고 2019년에는 64만명으로 증가했습니다. 

 

 

불면증이 심하면 우울증으로 번지고 심한 경우는 자살충동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불면증은 나이가 들수록 심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통계적으로 65세 이상은 40% 이상이 불면증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수면장애는 노인들의 문제만은 아닙니다. 성장기 아이들에게는 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학습과 인지, 성장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잠을 제대로 못자는데 당연하겠지요

 

지금부터는 불면증이 도대체 왜 일어나는지 알아보고, 불면증을 극복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불면증은 왜 일어나는가?

2. 송과체 석회화의 원인 "불소"

3. 불면증을 치료하는 방법

4. 정리 

 

 

1. 불면증은 왜 일어나는가?

 

불면증을 이해가이 위해서는 2가지 호르몬에 대해서 이해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1) 각성호르몬 "코르티솔"

- 아침에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호르몬

- 점심시간까지 꽤 높은 농도를 유지하다가 오후 2시이후 서서히 감소

- 일명 스트레스 호르몬이라 불리움

 

2)  수면호르몬 "멜라토닌" 

- 저녁 10시 이후 분비 증가하면 잠을 잘수 있게 됨

 

3) 송과체 

 

송과체는 멜라토닌을 분비합니다. 뇌의 중심부에 위치한 콩 하나크기의 작은 장기입니다. 멜라토닌은 주위가 어두워지면 분비됩니다. 즉, 생체시간을 컨트롤하는 "생체 시계"라고 할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15세와 51세의 송과체 사진인데요. 51세 송과체에는 하얀점들이 보입니다. 인는 세포에 칼슘이 침착되는 '석회화' 현상입니다.

 

65세

 

그리고 65세 성인의 사진을 보면 송과체 대부분이 석회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송과체 분비기능이 떨어져 혈중 멜라토닌 농도가 급격히떨어집니다. 당연히 나이가 들수록 불면증 비율은 증가할 수 밖에 없습니다.

 

 

2. 송과체 석회화의 원인 "불소"

 

1) 불소 

 

불소는 우리에게 꽤 익숙한 단어입니다. 치과에서 충치치료를 할때 사용하기도 하고, 불소가 포함된 불소치약도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니까요. 

 

 

 

그런데 불소는 우리몸의 칼슘과 아주 친화력이 뛰어납니다. 불소가 몸안에 들어오면 칼슘이 많은 뼈나 치아에 침착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연구결과 송과체 석회화 조직에서의 불소함량은 치아나 뼈보다 훨씬 많았습니다.

 

이밖에도 다른 여러 연구롤 통해 종합해보면 송과체에 불소가 침착되는 정도는 최소 뼈나 치아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많을수 있다고 합니다.  즉, 불소는 송과체에 엄청나게 농축될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불소가 무해하다면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약 80여건의 연구결과에서 불소는 우리몸의 석회화를 자극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불소는 기존에도 석회화된 혈관과 강하게 결합하는 특징이 있어 동맥경화를 진단하는데도 사용되어 오기도 했습니다. 

 

불소가 관상동맥 경화의 직접적인 원인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실제로 동맥경화 병변에는고농도의 불소침착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비슷한 현상으로 불소가 송과체에 침착되어 송과체의 석회화가 증가되고 멜라토닌 분비가 감소하는것도 예상해볼수 있습니다.

 

2) 송과체 석회화와 불소노출의 문제점

 

멜라토닌 분비가 안되어 잠이 잘 안온다 까지는 그래도 괜찮습니다만, 문제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송과체 석회화는조현병과 대뇌 욕적 감소와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결과도 속속 보고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수돗물속의 불소가 태아의 IQ를 떨어뜨린다는 연구결과가 캐나다에서 밝혀지기도 했습니다.

임산부가 불소에 노출되고 소변 배출량에 불소가 1mg 증가한다면 아이가 3~4세때 IQ가 4.5감소한다는 연구결과였습니다. 아이이 미래가 바뀔수도 있는 중대한 문제이고, 이와 같은 논문은 벌써 70편 가까이 발표되었습니다. 

 

 

최소한 임산부, 성장기 아이들은 불소에 노출를 주의하셔야 겠습니다. 충치예방을 위해 상수도를 불소화횄던 유럽의 경우 상수도의 불소화를 대부분 중지시켰고, 현재 약 3% 정도만 불소화된 상수도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미국은 74%가 상수도 불소화를 시행중입니다.

 

다행히 한국은 다양한 연구 및 문제의식을 통해 상수도의 불소화를 잠정 중단한 상태입니다. 지난 38년간 상수도 불소화 사업을 시행해왔지만 2019년부로 전국에서 중단되었습니다.

 

미국에서는 장기적인 저용량의 불소 노출이 성장기 청소년들의 신장과 간기능을 떨어뜨릴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간과 신장에도 불소가 축적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3) 송과체 석회화와 뇌질환 

 

송과체 석회화는 이밖에도 다양한 질병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편두통과 뇌출혈에 영향이 있다는 것이 밝혀졋고, 이를 통해  송과체 석회화는 다양한 뇌질환과 연관성이 있을수 있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멜라토닌은 실제로 비타민C와 E보다 훨씬 강한 약 2배 이상의 항산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이처럼 멜라토닌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으로 뇌세포를 보호하는 필수적인 물질인데 부족하면 뇌질환 확률이 매우 가파르게 증가할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치매환자의 멜라토닌 농도는 정상인의 20%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3. 불면증을 치료하는 방법

 

1) 불소 축적 문제점 정리

 

송과체 불소량 증가 → 송과체 석회화도 증가 →  멜라토닌 분비 감소 → 전체 수면시간 감소, 수면 효율 감소, 수면 장애 증가, 주간 피로감 증가, REM 수면 비율 감소 

 

그리고 불소축적은 단순 수면장애뿐 아니라 혈관벽에 침착해 동맥경화를 일으키고 장기의 기능을 떨어트립니다. 각종 뇌질환을 야기하며, 성장기 아이들의 IQ를 감소하는 문제도 있습니다. 

 

 

 

2) 불소가 포함된 식품

 

불소화 수돗물

커피&차

포도&와인

치킨

통조림

건포도

꽃게, 새우

감자칩, 감자튀김

오트밀, 밀 

캘리포나이산 화이트와인

 

이러한 음식물에도 불소가 소량 포함이 되어 있는데요 과량섭취만 하지 않는다면 큰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불소화 수돗물은 무조건 피하셔야 합니다 (한국이라면 다행히 괜찮습니다)

 

3) 불소치약 사용유의 

 

일반적인 치량의 경우 1000-2000PPM 입니다만 5000PPM이나 포함된 불소치약도 있습니다. 이는 화이트와인의 불소함유랑인 2PPM과 비교할수도 없이  많은 양입니다. 물론 치약을 먹지는 않지만 양치중 알게모르게 섭취되는 양은 상당히 많고 실제로 우리가 섭취하는 대부분의 불소는 양치질을 통해 이뤄진다고 합니다.

 

 

여기에 더해 구강청결제 까지 사용하시는 분들은 이중으로 불소섭취를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꼭 사용해야 하는 분들은 둘중 하나만 사용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4) 불소가 포함된 처방약

 

고지혈증 약인 스타틴 계열의 약은 불소가 함유된 경우가 많습니다. 불소는 약물의 효능을 오래 지속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고지혈증 약을 복용중인데, 수면장애가 있다면 그것은 스타틴에 함유된 불소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4. 정리 

 

불소의 다량 섭취는 송과체와 혈관 장기 등의 석회화를 진행에 신체에 좋지 않는 여러 질병을 야기하는 증거가 계속해서 쏟아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소량 섭취하는 것은 쿤 문제가 되지 않지만, 불소화 수돗물, 불소화 치약, 구강청결제 등의 사용을 극히 유의해 주시고, 특히 복용중인 약물에 불소가 함유되어 있는지도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불면증 해결하려면? 뇌구조이해

잠을 푹자고 일어나는 것을 '숙면'이라 한다면 그렇지 못한 경우를 '비숙면'이라고 합니다. 사실 아이들을 빼고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숙면'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현대인들은 잠을 푹자지 못

greencat.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