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alth 건강

당뇨에 나쁜 음식 TOP4

by KEY TV 2021. 9. 29.

 

특정음식을 먹어서 중대질병이 예방된다고 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우리몸의 어떤 질병이건 마찬가지입니다만 당뇨와 치매 역시예방음식은 없습니다. 있다면 이미 떼돈을 벌었겠지요.

 

하지만  당뇨와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 섭취를 피해야만 하는 4가지 음식이 있고, 이 4가지 음식만 피해도 충분히 예방이 가능합니다. 이 4가지 음식을 과학적 근거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목차

 

1. 당뇨의 유병률은얼마일까?

2. 밀가루 

3. 설탕물(탄산음료)

4. 과일

5. 밥

 

 

1. 당뇨의 유병률은얼마일까?

 

여러분들은 당뇨가 얼마나 흔한 병인지 알고계십니까? 흔히 병인지를 평가할때는 유병률을 사용하는데 5% 이상이면 흔한병이고 10% 이상이면 아주흔한병입니다.

 

2016년 기준

 

그리고 당뇨의 유병률은 14%입니다. 그리고 당뇨의 전단계인 전당뇨까지 포함하면 약 38%에 달한다고 합니다. 어마어마한 숫자죠. 이 추세라면 10년후에 10년후 50% 이상이 당뇨환자가 된다고 보건당국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이미 우리는 우리의 식습관과 생활습관이 이미 아주 당뇨에 걸리기 쉬운 형태라는 것을 짐작해볼수 있겠습니다. 

 

당뇨는 현대인의 식습관과 생활습관으로 인해 누구나 쉽게 걸릴수 있는 질병이라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당뇨병이 얼마나 끔찍한 지는 다들 알고계시겠지요? 

 

건강할때 관리하지 않으면 죽을때까지 즐거운 음식 섭취는 물건너 간다고 보셔야 하며, 평생을 관리해야 합니다. 

 

2. 밀가루 

 

최악의 음식  1위는 바로 밀가루입니다. 

 

1) 밀가루의 성분과 당지수

 

밀가루 = 탄수화물 92% + 단백질 8% 

 

설탕 당지수 : 63

밀가루 당지수 : 71

 

밀가루는 설탕보다도 당지수를 급격히 상승시킵니다. 하지만 이것이 다가 아닙니다.

 

밀가루로 제조한 음식의 당지수

 

식빵 : 91

라면 : 73

바게트빵 : 84

 

밀을 빻아서 가루형태로 만든 밀가루는 우리몸에 섭취가 매우 빠른 속도로 이뤄집니다. 

 

 

이점에서 같은 탄수화물이지만 통곡물의 형태로 섭취해 우리몸에 흡수를 늦추는 쌀밥이 그나마 낫고, 같은 쌀이어도 도정을 덜해 식이섬유가 풍부한 현미가 몸에 좋다는 이야기도 이 때문입니다. 

 

밥한공기 : 각설탕 16개~20개

통밀식빵 2조각 : 각설탕 16~17개 

 

단맛이 얼마 나지 않는다고 당을 올리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위 데이터처럼 결국 탄수화물을 우리몸의 당지수를 올리는 주적입니다.  그리고 그중에서 최악은 바로 밀가루입니다. 

 

2) 글루텐

 

밀가루에는 약 8%의 단백질이 있습니다, 그나마 희망적인 부부인데요. 하지만 밀가루에 있는 8%의 단백질은 우리가 글루텐이라고 부르는 바로 그것입니다. 쫀득쫀득하고 찰진 식감이 글루텐이죠. 아쉽게도 글루텐 역시 우리몸에 해롭습니다.

 

 

글루텐은 장세포내의 이음세를 헐겁개 합니다, 그리고 뇌혈관 장벽 헐겁게 만듭니다. 뇌혈관 장벽이 헐겁게 되 여러 독소가 들어오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글루텐 과다섭취시 뇌혈관이 손상되고, 많은 정신질환과 치매를 유발합니다.

 

최근 아주 많은 연구결과에서 정신질환 환자들이 밀가루를 끊으면 증상이 크게 호전된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3. 설탕물과 탄산음료

 

태국의 승려들은 하루에 한끼 아침 탁발을 통해 공양받은 음식만 먹고 수행에 정진합니다. 오후 12시 이후에는 식사가 철저히 금지되고 있습니다. 1일 1식을 하는 것이죠. 그 결과는어떠할까요?

 

 

놀랍게도 이들의 비만율은 48%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비만율 때문에 정부가 승려들에게 운동을 권장하고, 국가적인 건강검진이 이뤄지기도 했습니다. 이유는 무엇때문일까요? 바로 12시 이후의 금식시간에 물대신 섭취하는 '탄산음료' 때문입니다. 

 

1) 설탕의 문제점

 

설탕은 당지수를 올리는 주적중 하나인데요. 이를 물에 녹여서 섭취하면 마치 화산분출과 같이 우리몸의 혈당을 올리게 됩니다. 

 

 

설탕은 술을 마시는 것과 동일하다고 합니다. 실제로 만성 알콜환자의 증상과 만성과당섭취의 증상은 8가지 항목이 동일하다고 합니다. 같은 작용을 하고 같은 방식으로 대사되기 때문입니다. 맛은 다르고 색깔이 다를순 있어도 근본적으로 같은 것이라는 겁니다.

 

하지만 술은 가끔씩 절제해서 먹기때문에 우리몸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설탕은 갓난아이때부터 죽을때까지 매일매일 음식을 통해 섭취하는 성분입니다. 즉 취하지 않는 술이죠. 

 

 

설탕 당지수 : 63

밀가루 당지수 : 71

 

그래도 밀가루보단 낫지 않을까? 생각할수 있는데요. 우리가 사용하는 혈당측정기는 포도당측정기입니다. 그리고 설탕의 절반은 과당으로 혈당측정기로 측정이 불가합니다. 저 당지수는 의미가 없다는 것이죠. 

 

2) 치매유발 

 

포도당을 과잉섭취하게 되면 인슐린분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게 됩니다. 인슐린은 혈액 내의 포도당을 세포 내에 들어가게 하는데, 이에대한 저항성이 생기면 포도당이 뇌세포 안으로 이동하지 못합니다.

 

즉 혈액내에는 당이 많아도 세포안에는 당이 없는 상황이 되죠, 세포는 항상 굶주리게 되고 에너지를 만들어내지 못합니다. 뇌세포의 기능이 떨어지게 되고 이는 치매의 중요한 원인이 됩니다. 

 

 

4. 과일

 

인간의 몸은 당질을 아주빠른 속도로 중성지방으로 저장해 놓을수 있게 진화해왔습니다. 인류는 긴역사로 보면 항상 굶주려 왔기 때문입니다.

 

사냥에 실패하면 며칠을 굶기도 하는 그런 시대가 지난 수천 수만년간 이어져 왔고 이렇게 풍요로운 시대가 아주 특이한 케이스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과일은 음식이 귀한시절에는 아주 고마운 음식이었습니다. 그리고 야생의 과일은 지금처럼 달지 않았고, 오히려 시큼한 쪽에 가까웠다고 하죠. 

 

우리가 지금 먹는 과일은 품종을 개량하고 교배를 해 당도를 최대한 끌어올린 과일입니다. 이 과일이 몸에 좋은 음식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1) 과일별 당질 함량

 

사과 0.5개: 당질 14

배 0.5개 : 당질 16

수박 1조각 : 당질 18

딸기 2컵 : 당질 14

라즈베리 2컵 : 당질 10

포도1컵 : 당질 24

 

당질은 즉 설탕과 동일한 성분을 갖고 있습니다. 물론 과일은 설탕과 달리 몸에 좋은 성분도 있습니다. 

 

 

사과 200mg 당 성분

 

지방 : 0.4g

당류 : 24g

식이섬유 : 4g

단백질 : 0.6g

비타민 A : 108 IU (하루 권장 섭취량 5000)

비타민 C : 9.2mg (하루 권장 섭취량 200)

마그네슘 10mg (하루 600~500)

칼슘 12mg ( 하루 500~1500)

철분 0.2mg (하루 10)

칼륨 214mg (하루 4700)

 

문제는 하루 권장섭취량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양의 당질을 섭취하는 것입니다. 차라리 과일대신 비타민과 미네랄 보충제를 먹는게 낫습니다.

 

그리고 과일보다 채소와 야채가 비타민의 양과 식이섬유의 양이 훨씬 더 충분합니다. 그리고 채소는 당분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달달한 과일은 절제해서 드시고 채소를 많이 드셔야 합니다.

 

 

 

2) 절대로 과일을 갈아먹지 말자

 

과일을 갈아마시면 흡수가 잘되어 폭발적으로 혈당이 올라갑니다. 과일을 먹는 최악의 방법입니다. 

 

3) 건조과일 절대 먹지 말자

 

건조된 과일을 칩형태로 먹기도 하는데요. 그나마 생과일을 먹으면 포만감이라도 있습니다. 과일은 수분이 90%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건조된 과일은 수분마저 빠져 당은 그대로 있으면서도 포만감도 들지 않아 더욱 많은 양을 섭취하게 됩니다. 

 

 

5. 밥

 

앞서도 잠깐 언급했지만 밥 한공기에는 각설탕 14~17개 분량의 당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아 도대체 밥을 안먹으면 어떻게 하란 것일까요? 글을 쓰는 저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 인데요.

 

 

1) 진화의 역사

 

인간은 약 만년전부터 농업을 시작해왔고 곡물을 섭취했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소화기관은 아직 곡물중식의 식생활에 적응하지 못했습니다. 곡물중심의 식생활보다 훨씬 더 오랜기간동안 인간은 사냥을 통한 육식을 해왔기 때문입니다.

 

 

인류의 역사는 200만년에 달하고, 그중 곡물을 먹은 것은 1만년, 그리고 지금과 같은 백미를 누구나 쉽게 먹게된것은 70년 정도에 불과합니다.  이는 찰나와 같이 짧은 시간이죠.

 

그리고 대부분의 시간은 극도로 당질이 부족한 상황에서 살아왔고, 우리몸은 이에 맞게 진화해왔습니다. 

 

2) 치매유발

 

일본의 규슈대학이 1985년부터 15년간 추적한 결과입니다.

 

- 치매증상이 없는 노인 65명 대상

- 당뇨와 전당뇨 환자에서 치매발생 위험도가 4.6배 높았고,

- 흰쌀밥을 먹는 사람일수록 치매확률 높아짐

 

3) 당질 대신 고기를 먹어라

 

칼로리를 줄인다고 몸무게가 덜나간다고 당뇨가 없는 것이 아닙니다. 탄수화물만 먹으면 혈당을 올라갈수밖에 없습니다. 쌀밥 역시 예외가 아닙니다. 차라리 기름진 고기를 먹는게 당뇨병에는 훨씬 낫고, 두부와 같은 단백질 음식으로 대체할수 있으면 좋습니다.

 

 

면역력을 높이는 방법 - 카이스트 의과대

많은 분들께서 가장 흔히 하는 질문이 면역력이 도대체 무엇인지? 그리고 면역력을 높이는 약이 있는지, 면역력을 높이는 식품이 있는지를 많이 문의합니다. 면역력은 곧 '질병에 대한 저항'으

greencat.tistory.com

 

 

 

 

 

 

 

 

 

 

 

 

댓글